고구려-수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구려-수 전쟁은 598년부터 614년까지 고구려와 수나라 사이에 벌어진 일련의 군사적 충돌을 말한다. 수나라는 중국을 통일한 후 주변 국가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했고, 고구려는 이에 맞서 수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수나라는 네 차례에 걸쳐 고구려를 침공했지만, 고구려의 방어와 수나라의 내부 문제로 인해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특히 612년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은 고구려가 수나라를 크게 물리친 중요한 전투로 평가받는다. 이 전쟁은 수나라의 국력 소모를 심화시켜 수나라 멸망의 원인이 되었고, 고구려는 국가를 보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98년 한국 - 제1차 고구려-수 전쟁
제1차 고구려-수 전쟁은 598년 수나라가 고구려를 침공했으나 폭풍우, 전염병, 식량 부족 등으로 인해 실패하고 고구려가 수나라의 침략을 막아낸 사건이다. - 614년 한국 - 제4차 고구려-수 전쟁
제4차 고구려-수 전쟁은 614년 수나라의 마지막 고구려 침략으로, 수 양제의 강행에도 불구하고 고구려의 승리로 끝나 수나라 멸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고구려가 동아시아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 고구려-수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분쟁 개요 | |
| 분쟁명 | 고구려-수 전쟁 |
| 영문 명칭 | Goguryeo–Sui War |
| 한자 명칭 | 高句麗-隋 戦争 (고구려-수 전쟁) |
| 시기 | 598년, 612년–614년 |
| 장소 | 만주, 한반도 북부, 황해 |
| 결과 | 고구려의 승리 |
| 원인 | 수나라의 고구려 정벌 시도 |
| 영향 | 수나라 멸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고구려 |
| 교전국 2 | 수나라 |
| 지원군 | 동돌궐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고구려 | 영양왕 |
| 수나라 | 수 문제 |
| 병력 규모 | |
| 고구려 | 약 345,000명 (추정) |
| 수나라 (612년 2차 침공 시) | 명목상 1,133,800명의 전투 병력과 약 2,000,000명의 지원 병력 (《수서》, 《삼국사기》 기록). 데이비드 A. 그래프는 600,000명으로 추정. |
| 사상자 규모 | |
| 고구려 | 불명 |
| 수나라 | 최소 302,300명 |
2. 배경
수나라는 589년에 진나라를 정복하고 약 300년 동안 지속된 중국의 분열을 종식시키며 중국을 통일하였다. 중국 통일 후 수나라는 주변 국가들에 대한 맹주적 지위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고구려는 삼국시대 중 하나였는데, 평원왕과 그의 뒤를 이은 영양왕은 수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다.
수나라는 589년에 진나라를 정복하고 중국을 통일한 후 주변 국가들에 대한 맹주적 지위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고구려 평원왕과 영양왕은 수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다. 수문제는 고구려의 도전에 불만을 품고 596년에 외교 문서를 보내 군사 동맹 해제, 침략 중단, 수나라 맹주 인정 등을 요구하였다. 이에 영양왕은 597년에 말갈과 함께 선제 공격을 감행하여 오늘날 허베이성 지역의 중국 국경을 공격하였다.
수문제는 수나라 북쪽 국경을 소규모로 침략하는 고구려의 도전에 불만을 품었다. 수나라 사신들이 돌궐의 유르트에서 고구려 사신들을 발견한 후, 수문제는 596년에 외교 문서를 보내 고구려에게 돌궐과의 군사 동맹을 해제하고, 수나라 국경 지역에 대한 연례 침략을 중단하며, 수나라의 맹주임을 인정할 것을 요구하였다.[21][22][23][24] 이 소식을 받은 영양왕은 597년에 말갈과 함께 선제 공격을 감행하여 오늘날 허베이성 지역의 중국 국경을 공격하였다.
3. 전쟁의 경과
이후, 고구려와 수나라는 여러 차례 전쟁을 치렀다.3. 1. 제1차 침공 (598년)
수나라 수문제는 30만 명의 육군과 해군을 동원하여 고구려를 침공했다.[34] 육군은 양량이 이끌었고, 해군은 주로후가 이끌었다.
양량의 육군은 고구려에 도착했을 때 초여름 장마를 만나 진군과 보급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고구려군의 지속적인 공격과 질병으로 인해 많은 병력을 잃었다. 결국 양량은 해군과 합류하여 진격하기로 결정했다.
주로후의 해군 역시 해상에서 악천후를 만나 많은 배를 잃었다. 고구려군은 해안선을 따라 항해하는 수군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결국 수 문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전염병과 보급 부족으로 인해 육군과 해군 모두 철수하였다.[35]
3. 2. 제2차 침공 (612년)
수나라 양제는 604년 즉위 후 중국 대운하를 건설하여 남북을 연결하였다. 이로써 대규모 군사 작전을 위한 병력 수송이 가능해졌다.[16] 양제는 611년 병사 모집을 명하여 현재의 베이징에 집결하도록 했다. 『수서』에 따르면 1,133,800명의 정규군과 그 몇 배에 달하는 보급병이 동원되었는데, 이는 당시 문명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였다. 612년 초 출발한 군대의 행렬은 약 300km에 달했다. 다만, 당나라 역사가들은 병력 규모와 손실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고구려 영양왕은 요하 방어선을 포기하고 요하 뒤로 후퇴했다. 요하가 평소보다 일찍 녹아 수나라 군대는 강을 건너기 위해 다리를 건설해야 했다. 고구려군은 초반 공격을 막아냈으나, 다리가 연장되자 수군은 강을 건너 고구려 요새를 포위했다.
양제는 장수들에게 개별적인 결정을 내리지 말고 자신에게 보고하도록 명령했는데, 이는 수나라의 전략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요동성 공략 중, 장군은 항복 승인을 받기 위해 황제에게 사자를 보내야 했고, 그 사이 고구려군은 방어 준비를 마쳤다. 6월까지도 수나라는 단 하나의 성도 함락시키지 못했다. 양제는 전략을 바꿔 만주의 고구려 요새를 견제하며 30만 5천 명의 별동대와 12만 명의 함대를 평양으로 보냈다.
수나라 수군이 육군보다 먼저 대동강에 도착했다. 영양왕의 동생 고건무는 소수의 병력으로 수군과 싸워 패한 척 후퇴했다. 수군 사령관 라이후니는 4만 명을 이끌고 평양을 공격했으나, 비어있는 성을 보고 함정임을 깨닫지 못한 채 약탈을 시작했다. 이때 고구려 결사대 500명이 기습하여 수군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했다.
우문술, 우중문이 이끄는 수나라 육군은 군량 보급 문제에 직면했다. 양제는 각 병사에게 식량을 휴대하도록 했으나, 이는 병사들의 부담을 가중시켜 많은 병사들이 식량을 버렸다. 압록강에 도착했을 때 군량 부족은 심각했다.
을지문덕은 항복을 가장하여 수나라 군대의 실력을 평가하라는 영양왕의 명을 받았다. 우문술과 우중문은 양제로부터 을지문덕을 체포하라는 비밀 명령을 받았으나, 참모들의 반대로 실행하지 못했다. 을지문덕은 고구려로 돌아갔고, 우중문은 그를 다시 유인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우중문과 유충원은 을지문덕 추격을 두고 논쟁을 벌였으나, 결국 평양을 함락시키기로 결정했다. 을지문덕은 하루에 일곱 번 싸워 패하는 척하며 수나라 군대를 평양 근처까지 유인했다. 유충원은 군대가 피로하고 평양의 방어가 튼튼함을 깨닫고 진퇴양난에 빠졌다. 을지문덕은 다음과 같은 시를 보내 수나라 군대의 철수를 유도했다.
> 신묘한 계책 하늘에 닿았고,
>
> 미묘한 계산 땅에 펼쳐졌네.
>
> 싸움마다 승리하고 공훈 쌓았으니,
>
> 만족하여 전쟁을 그만두는 게 어떻겠는가? [17]
을지문덕은 수나라 군대가 철군하면 영양왕을 양제에게 항복하게 할 계획을 제시했고, 수나라 군대는 철군을 시작했다. 이후의 내용은 살수대첩에서 자세히 다룬다.
3. 2. 1. 살수대첩 (612년)

을지문덕은 살수(현재의 청천강으로 추정)에서 수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했다. 을지문덕은 수나라 군대의 보급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파악하고, 거짓 항복으로 수나라 군대를 평양 근처까지 유인했다.[17]
을지문덕은 유인 작전의 일환으로 하루에 일곱 번 싸워 모두 패하는 척하며 수나라 군대를 계속해서 고구려 영토 깊숙이 끌어들였다. 결국 수나라 군대는 피로와 굶주림에 지치게 되었다. 을지문덕은 이 틈을 타서 살수에서 수나라 군대를 공격하여 섬멸하였다.
30만 5천 명의 수나라 별동대 중 2,700명만이 살아서 돌아갔다고 기록될 정도로 수나라가 대패하였다.[18][19] 살수대첩은 한국사에서 외적을 물리친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3. 3. 제3차 침공 (613년)
수 양제(수 양제)는 613년에 다시 요동을 침공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철군해야 했다. 수 양제가 자리를 비운 사이, 그의 측근이자 재상이었던 양수의 아들 양현감이 반란을 일으켰다.[1] 양면 공격을 우려한 수 양제는 철군하여 양현감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군대를 사용해야 했다.[1]
3. 4. 제4차 침공 (614년)
양제는 반란을 진압한 후, 614년에 다시 고구려를 침공했다. 양제는 고구려의 첫 번째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지만, 국경 요새를 함락하지는 못했다. 또한 고구려의 끊임없는 공격과 보급로 차단으로 요하(遼河)를 넘어 멀리 진격할 수 없었다. 영양왕은 지칠 줄 모르는 전쟁을 끝낼 기회를 보고 평화를 제안하고, 양현감의 난 이후 고구려로 도망친 양현감의 동료 혹사정을 수나라에 돌려보냈다.[20]
고구려에서의 소득이 적고 중국 내부의 불만이 증가하는 것을 감지한 양제는 영양왕의 평화 제안을 받아들이고 고구려 영토에서 수나라 군대를 철수시켰다. 그러나 영양왕은 충성을 맹세하기 위해 나타나지 않았고, 이는 양제를 격분시켰다. 양제는 고구려에 대한 또 다른 침략을 간신히 포기하게 되었다.[20]
614년, 수 양제는 세 번째로 고구려에 침입했다. 고구려는 여러 차례의 전쟁으로 피폐해 있었기에, 양현감과 내통하여 고구려로 망명했던 혹사정을 수나라 장군인 내호아(来護児)에게 넘겼다. 수나라 역시 국내가 혼란스러웠기에 화의를 맺었다. 고구려는 화의 조항 중 하나였던 수나라에 대한 조공을 이행하지 않았고, 이에 수나라는 분노하여 재차 원정을 계획했으나 국내 반란으로 인해 실행하지 못했다.
4. 전쟁의 결과 및 영향
고구려는 수나라의 침략을 막아내고 국가를 보존했다. 반면 수나라는 전쟁으로 인한 국력 소모와 민심 이반으로 인해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1] 농민, 병사, 귀족, 지주 등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황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수 양제는 수도를 남쪽 양주로 옮겼지만, 반란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1] 우문술의 아들 우문화급은 쿠데타를 일으켜 양제를 살해했다. 이후 당나라 공이 새로운 왕조인 당나라를 건국했다.[1]
대한민국에서는 이 전쟁을 '여수전쟁' 또는 '고구려-수 전쟁'으로 부르며, 살수대첩은 외세의 침략을 막아낸 자랑스러운 역사로 기억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민족의 자주성을 지켜낸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한다.
5. 평가
중국과 조선 관계 통사 편찬조가 편찬한 『중국과 조선 관계 통사』(吉林人民出版社, 1996년)에서는 양제가 일관되게 “요동의 전쟁”이라고 불렀듯이, 옛 영토를 되찾아 전 중국을 통일하고, 조선반도의 토착 국가인 신라와 백제를 지원함으로써 “중국과 조선의 우호에 대한 중대한 공헌”을 했다고 기술하고 있다.[36]
5. 1. 중국, 일본에서의 평가
일본에서는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21][22][23][24]을 “'''수나라의 고구려 친정'''”[25][26], “'''수나라의 고구려 출병'''”[27][28],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26] 등으로 부른다. 598년 문제(楊堅)의 고구려 출병은 “'''수나라의 고구려 토벌·고구려 정벌'''”[29]이라고도 표기한다. 전전(戰前) 이나바 이와키치(稲葉岩吉) 등의 연구[30]에서는 '''여수전쟁(麗隋戰爭)'''이 사용되었다.중국에서는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에 대해 중국과 朝鮮 관계 통사 편찬조가 편찬한 『중국과 조선 관계 통사』(吉林人民出版社, 1996년)에서 양제가 일관되게 “요동의 전쟁”이라고 불렀듯이, 옛 영토를 되찾아 전 중국을 통일하고, 신라와 백제를 지원함으로써 “중국과 조선의 우호에 대한 중대한 공헌”을 했다고 기술하고 있다.[36]
6. 명칭
한국에서는 "여수전쟁"이라는 표현도 사용되지만,[31][32] "고구려-수 전쟁"[33]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에서는 이나바 이와키치(稲葉岩吉) 등의 연구에서[30] '''여수전쟁(麗隋戰爭)'''이 사용되었다. 일본의 동양사·중국사 연구사에서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21][22][23][24]은 “'''수나라의 고구려 친정'''”,[25][26] “'''수나라의 고구려 출병'''”[27][26][28] 또는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26]이라고도 불린다. 598년 문제(楊堅)의 고구려 출병은 “'''수나라의 고구려 토벌·고구려 정벌'''”[29]이라고도 표기된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3]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Volume I: To 1800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4]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Kuzey Hanedanlar Tarihi
[6]
서적
Tzu chih t'ung chien
[7]
서적
Suei Shu
[8]
서적
The Book of Sui, 《隋書 卷四帝紀第四 煬帝下》 "總一百一十三萬三千八百,號二百萬,其餽運者倍之。"
[9]
서적
《삼국사기》고구려본기 영양왕 三國史記 卷第二十 髙句麗本紀 第八
[10]
문서
[11]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Routledge
[12]
서적
Book of Sui
[13]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14]
서적
A Panorama of 5000 Years: Korean History
https://archive.org/[...]
Hollym International Corporation
2005
[15]
웹사이트
Battle of Salsu, Encyclopædia Britannica Korean Edition
http://preview.brita[...]
[16]
웹사이트
China's Grand Canal
http://filebox.vt.ed[...]
2004-03-12
[17]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Inc
[18]
서적
Zizhi Tongjian
[19]
서적
Samguk Sagi
http://147.46.181.11[...]
2007-03-15
[20]
서적
Imperial Chinese Military History: 8000 BC – 1912 AD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6-11-09
[21]
서적
世界史年表・地図
吉川弘文館
[22]
서적
東アジアの世界帝国
講談社
[23]
서적
隋の高句麗遠征と仏教
[24]
서적
煬帝の第1次高句麗遠征軍--その規模と兵種
1985-06
[25]
서적
隋唐帝国と古代朝鮮
中央公論社
[26]
서적
東アジアの世界帝国
講談社
[27]
서적
東アジアの世界帝国
講談社
[28]
서적
日本史年表・地図
吉川弘文館
[29]
서적
東アジアの世界帝国
講談社
[30]
서적
麗隋戦争及び日本
http://iss.ndl.go.jp[...]
日本評論社
[31]
뉴스
여수전쟁 麗隋戰爭
http://100.nate.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2]
웹사이트
여수전쟁
http://kr.dictionary[...]
[33]
서적
韓国歴史地図
平凡社
[34]
서적
7世紀以前の中国・朝鮮関係史
法政大学経済学部学会
2020-03-20
[35]
서적
帝国としての中国
東洋経済新報社
2013-07-26
[36]
서적
7世紀以前の中国・朝鮮関係史
法政大学経済学部学会
2020-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